천주교 세례명/세례명 날짜 찾기

1월 20일 남자세례명 9가지

피어나네 2023. 1. 20. 08:00
반응형

 

1월 20일에 해당하는 남자세례명 네오피토, 데시데리오, 마우로, 몰라가, 베네딕토 리카솔리, 세바스티아노, 에우티미오(대), 파비아노, 페친, 총 9분 목록이에요.

 

1월 20일이 영명축일인 남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1월 20일 여자세례명 에우스토키아 스메랄도 칼라파토,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1월 20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9가지

 

 

 

 

1월 20일 남자세례명 목록

 

  1. 네오피토

  2. 데시데리오

  3. 마우로

  4. 몰라가

  5. 베네딕토 리카솔리

  6. 세바스티아노

  7. 에우티미오(대)

  8. 파비아노

  9. 페친

 

 

1월 20일 천주교 남자세례명 9가지

 

 

1. 네오피토

 

  • 가톨릭 성인 이름
    Neophyt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소년,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310년 니케아

 

 

네오피토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네오피또, 네오피뚜스, 네오피투스.

 

 

네오피토 자료

성 네오피투스(또는 네오피토)는 15세 이하의 소년으로 갈레리우스 황제 때 니케아에서 순교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데시데리오

 

  • 가톨릭 성인 이름
    Desideri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1194년 테루안

 

 

데시데리오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데시데리우스, 디디에르, 디디엘.

 

 

데시데리오 자료

성 데시데리우스(또는 데시데리오)는 프랑스 테루안의 제33대 주교로서 생오메르(Saint-Omer) 근교에 시토회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1169년 주교로 착좌한 그는 임종을 앞두고 스스로 주교좌에서 물러나 캉브롱(Cambron)의 시토회 수도원에서 죽음을 준비하였다. 그는 애덕 실천과 기도생활에서 특출하였다고 한다. 그는 디디에르(Didier)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마우로

 

  • 가톨릭 성인 이름
    Maurus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주교

  • 활동 연도와 지역
    +946년 체세나

 

 

마우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마오로, 마우루스.

 

 

마우로 자료

로마사람 성 마우루스(또는 마우로)는 교황 요한 9세(Joannes IX)의 조카로 사제가 된 후 926년에 라벤나(Ravenna)에 있는 클라세(Classe) 수도원에 입회하였고 후에 수도원장이 되었다.

934년 그는 체세나 교구의 주교로 성성되었다. 그는 도시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 위에 작은 방을 만들고 그곳에서 기도시간을 보냈다. 성인의 사후 그 작은 기도방은 산타 마리아 델 몬테(Santa Maria del Monte) 베네딕토 수도원으로 성장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몰라가

 

  • 가톨릭 성인 이름
    Molagga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655년경 페르모이

 

 

몰라가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라이친, 라이킨, 몰라카.

 

 

몰라가 자료

아일랜드 출신의 성 몰라가는 웨일스(Wales)의 성 다윗(David, 3월 1일)의 제자로 웨일스 지방으로 가서 페르모이(Fermoy)에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그는 아일랜드 북부 코크(Cork) 근방에서 상당한 존경을 받는다. 또한 그는 더블린(Dublin)의 발브리간(Balbriggan) 지방과도 연관을 갖고 있다. 성 몰라가는 라이킨(Laicin) 또는 몰라카(Molacca)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5. 베네딕토 리카솔리

 

  • 가톨릭 성인 이름
    Benedict Ricasoli

  • 호칭 구분
    복자

  • 신분과 직업
    은수자

  • 활동 연도와 지역
    +1107년경 콜티보니

 

 

베네딕토 리카솔리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베네데토, 베네딕도, 베네딕또, 베네딕뚜스, 베네딕투스, 베네딕트, 분도.

 

 

베네딕토 리카솔리 자료

베네딕투스 리카솔리(Benedictus Ricasoli, 또는 베네딕토)는 그의 부모가 설립한 발롬브로사 연합회의 수도승이 되었다. 그는 그의 부모를 능가할 정도로 뛰어났으며, 콜티보니에서 제자들을 모아 공동체를 이루었다. 그러나 공동체 생활보다는 더욱 엄격한 독수생활을 할 목적으로 수도원에서 조금 떨어진 산에 움막을 세우고 홀로 지냈다.

그는 예수 성탄 대축일부터 주님 공현 대축일까지는 수도원에 머물면서 수도자들을 격려하고 권고하였다. 그들의 생활은 한마디로 훌륭한 죽음을 준비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을 정도로 열렬하고 또 엄격하였다.

그가 늘 하는 말은 “늘 준비하고 있어라. 사람의 아들이 언제 오실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그는 이 세상을 이탈한 수도자의 본보기로 공경을 받는다. 그에 대한 공경은 1907년에 승인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6. 세바스티아노

 

  • 가톨릭 성인 이름
    Sebasti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군인,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88년경 로마

 

 

세바스티아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세바스띠아노, 세바스띠아누스, 세바스찬, 세바스챤, 세바스티아누스, 쎄바스띠아노, 쎄바스띠아누스.

 

 

세바스티아노 자료

프랑스 남부 나르본(Narbonne) 태생인 성 세바스티아누스(Sebastianus, 또는 세바스티아노)는 283년경에 로마에서 군인이 되었고, 성 마르첼리아누스(Marcellianus, 6월 18일)와 성 마르코(Marcus, 6월 18일) 부제를 격려하여 죽음으로써 신앙을 지키도록 했던 열렬한 그리스도인이었다.

그는 수많은 개종자를 얻었는데, 그들 중에는 재판장인 성 니코스트라투스(Nicostratus, 7월 7일)가 있었고, 그의 아내 성녀 조아(Zoa, 7월 5일)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성녀 조아는 벙어리였으나 그의 기도로 완쾌되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간수 성 클라우디우스(Claudius, 7월 7일), 로마의 집정관 크로마티우스(Chromatius)와 그의 아들 티부르티우스(Tiburtius) 등이 있다.

그는 또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로부터 친위대 대장으로 임명되었는데, 황제는 그가 그리스도인인줄 몰랐다고 한다. 성 세바스티아누스가 신자임이 드러난 것은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였다.

그는 즉시 처형될 입장이 되었다. 그는 화살을 맞고 쓰러졌으나 성 카스툴루스(Castulus, 3월 26일)의 미망인인 성녀 이레네(Irene)가 그의 시신을 찾으러 가서 보니 아직 살아있음을 보고 극진히 간호하여 회복시켰다.

그 후 성 세바스티아누스는 황제에게 정면으로 도전하여 그리스도인에 대한 그의 잔인성을 고발하자 황제는 화가 나서 그를 몽둥이로 때려죽이도록 한 다음 로마의 하수구인 '클로아카 막시마'(Cloaca Maxima)에 던져 버렸다. 그의 죽음과 용기는 신자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다.

한편 순교한 후에 성 세바스티아누스는 로마에 사는 루치나(Lucina)라는 부인의 꿈에 나타나 하수구에서 자신의 시신을 찾아서 지금의 성 세바스티아누스 성당이 있는 자리 근처의 지하 묘지에 매장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그의 시신은 루치나 부인에 의해 아피아(Appia) 가도에 있는 지하묘지에 묻혔다.

그는 군인, 운동선수 그리고 궁술가의 수호성인이자 전염병의 수호성인으로서 공경을 받고 있다. 그가 전염병의 수호성인이 된 것은 680년 로마에 페스트가 발병했을 때 로마인들이 페스트가 멈추기를 기원하며 성 세바스티아누스의 유해를 모시고 장엄한 행렬을 거행하자 그 뒤로 페스트가 사라졌다고 한다.

또 1575년에 밀라노(Milano), 1599년에는 리스본(Lisbon)에 전염병이 돌았을 때 성 세바스티아누스의 보호를 기원하는 예식이 거행되었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점차 성 세바스티아누스를 전염병 희생자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하게 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7. 에우티미오(대)

 

  • 가톨릭 성인 이름
    Euthymius the Great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378-473년

 

 

에우티미오(대)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에우띠미오, 에우띠미우스, 에우티미우스.

 

 

에우티미오(대) 자료

아르메니아(Armenia)의 밀리테네(Militene)에서 어느 부유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성 대 에우티미우스(또는 에우티미오)는 그곳의 주교 밑에서 공부하고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 후 그는 교구 내의 수도원 책임자로 활동하다가 29세 되던 해에 자신도 예루살렘 교외의 파란(Pharan) 수도원에서 수도자가 되었다.

411년경에 그는 그곳을 떠나 동료들과 함께 예리코(Jericho) 근교의 어느 동굴에서 은수자 생활을 시작하였는데, 수많은 제자들이 몰려오므로 그는 이곳의 원장으로 테옥티스투스(Theoctistus)를 임명하고 자신은 더 한적한 곳으로 물러났다.

이곳에서도 많은 제자들이 생겼고 또 수많은 아랍인들이 포함된 개종자를 얻었다. 이리하여 예루살렘의 총대주교인 유베날리스(Juvenalis)는 그를 주교로 축성하여 아랍 개종자들을 사목토록 배려하였고, 예루살렘에서 예리코로 가는 길목에 그를 위한 수도원을 세워주었다.

그는 수많은 군중들에게 설교하여 개종자를 얻었는데, 그들 중에는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미망인인 에우독시아(Eudoxia)도 포함되어 있다. 그녀는 에우티미우스의 권고를 듣고 아리우스파(Arianism)에서 물러나 459년에 정통 가톨릭으로 되돌아왔다. 그는 사막에서 66년을 살다가 운명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8. 파비아노

 

  • 가톨릭 성인 이름
    Fabia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교황, 순교자

  • 활동 연도와 지역
    +250년

 

 

파비아노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빠비아노, 빠비아누스, 파비아누스, 파비안.

 

 

파비아노 자료

로마(Roma)의 평신도이던 성 파비아누스(Fabianus, 또는 파비아노)는 236년 1월 10일 교황으로 선출되었는데, 선거를 실시하는 동안 비둘기 한 마리가 그의 머리 위에 내려앉았다.

그러자 신자들은 그 모습이 예수님이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세례를 받을 때 성령이 비둘기 모양으로 나타났던 모습(마태 3,16)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교황 선출에 관한 하느님의 의지가 드러난 것이라 여겨 그 자리에서 안수를 통해 성 파비아누스를 교황으로 선출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그러나 그의 재임 기간의 업적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이단 문제로 인하여 누미디아(Numidia, 오늘날 북아프리카 지역의 고대 지명)의 람베시스(Lambaessis)의 주교인 프리바투스(Privatus)를 단죄하였고, 로마의 칼리스투스 카타콤바 내에 주교들을 위한 묘역을 건설하였다.

데키우스 황제 치하의 박해로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하였는데, 성 파비아누스 교황도 이때 순교하였다. 교황의 시신은 칼리스투스 카타콤바에 안장되었다가 후에 성 세바스티아누스 대성전으로 옮겨졌으며, 1915년에 그의 이름이 적힌 석관이 발견되었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9. 페친

 

  • 가톨릭 성인 이름
    Fechin

  • 호칭 구분
    성인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665년 포바르

 

 

페친 남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페킨.

 

 

페친 자료

성 페킨(또는 페친)은 아일랜드 북서부 코노트(Connaught)에서 태어나 성 나티(Nathy, 8월 9일)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그 후 그는 웨스트미스(Westmeath)의 포바르에 수도원을 세워 많은 수도자들을 양성하였다. 또한 그는 무서운 페스트를 아일랜드에서 몰아낸 위대한 성인으로 공경을 받는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

 

이름순 가톨릭 세례명

본받고 싶은 가톨릭 성인 찾기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