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세례명 이름 찾기

도다 천주교 여자세례명

피어나네 2023. 3. 3. 16:00
반응형

 

여자세례명 도다는 도드 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천주교 여자세례명 도다 자료를 정리했어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도다 가톨릭 성인의 스토리로 이동합니다. 도다를 찾아 가톨릭 성인의 믿음과 가치를 발견해 보세요.

 

 

 

 

 

본받고 싶은 세례명 찾기

도다
천주교 여자세례명

 

 

 

 

 

도다 여자세례명 목록

 

  1. 도다 (4월 24일)

 

도다 천주교 여자세례명

 

 

1. 도다

 

  • 세례명 축일
    4월 24일

  • 호칭 구분
    성녀

  • 가톨릭 성인 이름
    Doda

  • 신분과 직업
    수도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7세기 랭스

 

 

도다 세례명과 같은 이름

도드

 

 

도다 이야기

성녀 보바(Bova, Boba)는 몽포콩(Montfaucon)의 성 발데리쿠스(Baldericus, 10월 16일)의 누이로 아우스트라시아(Austrasia) 왕인 시기베르트 1세(Sigebert I)의 딸이자 다고베르트 1세(Dagobert I) 왕과 가까운 친척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연대기 작가이자 랭스 주교좌성당 사제인 플로도아르(Flodoard, +966년)의 기록에 근거한 것이다. 하지만 현대 사학자들은 그보다는 쾰른(Koln)의 왕인 시고베르트(Sigobert the Lame)의 자녀라는데 더 신빙성을 두고 있다.

성녀 보바는 하느님께 자신의 봉헌할 결심을 하고 모든 결혼 제의를 거절하였다. 평범한 수녀로 살기 원했던 그녀는 성녀 클로틸다(Clotildis, 6월 3일) 왕비와 랭스의 주교인 성 레미기우스(Remigius)가 그 지방에서 세운 수녀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그 수녀원은 도시 성벽 밖에 있었는데, 수녀들의 안전과 동생을 위해 성 발데리쿠스가 성벽 안에 베네딕토회의 성 베드로 수녀원을 설립한 후 동생에게 원장직을 맡겼다.

그녀는 원치 않는 원장직을 맡았지만, 수녀원에서 선종할 때까지 겸손하게 금욕적 생활을 실천하고 기도 생활에 전념했다. 성 발데리쿠스는 정기적으로 그녀의 수녀원을 방문해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성녀 보바는 조카인 성녀 도다의 양육과 교육을 담당했는데, 그녀가 영주와의 강제적인 결혼을 피하려고 피신했을 때 수녀원으로 데려와 수도 생활에 헌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성녀 도다는 성녀 보바가 선종한 후 그녀의 뒤를 이어 수녀원장이 되었다. 두 성녀의 생애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10세기에 그곳 수녀들과 관련된 전승이 연대기 작가에 의해 다시 기록되어 전해질 수 있었다.

보나(Bona)로도 불리는 성녀 보바는 프랑스에서는 뵈브(Beuve)로 불린다.

옛 “로마 순교록”은 4월 24일 목록에서 랭스의 거룩한 동정녀인 성녀 보나(Bona)와 성녀 도다(Doda)에 대해 기록하였다. 성녀 도다는 도드(Dode)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날짜순 천주교 세례명

어떤 세례명이 좋을까?

pieonan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