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4일에 해당하는 여자세례명 바울라 엘리자베타, 아델라, 이르미나, 타르실라, 총 4분 목록이에요.
12월 24일이 영명축일인 여자세례명은 어떤 이름이 좋을까요? 아래 세례명 목록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천주교 세례명 상세정보로 이동합니다. 어울리는 세례명을 지금 바로 찾아보세요.
12월 24일 남자세례명 그레고리오, 델피노, 드루소, 루치아노, 메트로비오, 바오로, 에우티미오, 제노비오, 테오시모, 총 9분 목록은 여기에 있어요.
세례명 어떤 이름이 좋을까?
12월 24일
천주교 여자세례명
4가지
12월 24일 여자세례명 목록
1. 바울라 엘리자베타
- 가톨릭 성인 이름
Paula Elisabett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과부, 설립자,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1816-1865년
바울라 엘리자베타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빠올라, 빠울라, 엘리사베따, 엘리사베타, 엘리자베따, 체리올리, 코스탄차, 파올라, 파울라.
바울라 엘리자베타 자료
성녀 바울라 엘리자베타는 1816년 1월 28일 이탈리아의 손치노(Soncino)에서 귀족 출신의 부모인 프란체스코 체리올리(Francesco Cerioli)와 프란체스카 코르니아니(Francesca Corniani)의 16명의 자녀 중 막내딸로 태어나 코스탄차 체리올리(Costanza Cerioli)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병약했기 때문에 11살까지 집에서 머물다가 비로소 베르가모(Bergamo)에 있는 학교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코스탄차는 집을 떠난 외로움으로 큰 고통을 겪었는데, 이 체험은 그녀가 하느님만을 의지하며 살고 홀로 위안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19살 때 고향인 손치노로 돌아왔을 때 이미 그녀에 대한 결혼 계획이 서 있었다. 아내를 잃고 홀로 된 59세의 가예타노 부세키(Gaetano Busecchi) 백작이 그녀의 남편으로 정해져 있었다. 그녀는 이를 하느님의 뜻으로 알고 제안을 받아들여 1835년 4월 30일 결혼식을 올렸다.
19년의 결혼 생활 중 뒷부분은 모든 측면에서 고통으로 점철된 시간이었다. 그녀는 남편의 까다로운 성격과 좋지 않은 건강 때문에 힘들어했다. 그리고 3명의 자녀가 너무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가장 큰 위안이었던 카를로(Carlo)마저 16살까지밖에 살지 못했다.
1854년 1월 심각한 병으로 죽음을 목전에 둔 카를로는 마지막으로 “어머니, 울지 마세요. 하느님께서 다른 아이들을 주실 거예요.”라는 예언과도 같은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게다가 그해가 끝날 무렵인 12월 25일 남편 가예타노마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코스탄차에게 있어 암흑기와 같은 이 시기는 그녀에게 심각한 실존적 위기를 초래했다. 그녀의 인생은 무의미하고 무감각해 보였지만 그녀의 아들이 남긴 마지막 말은 계속해서 그녀의 영혼을 울렸고, 결국 이는 그녀를 이끄는 빛이 되었다.
그래서 그녀는 영적 지도를 찾았고 자신의 모든 비극과 생애 전체를 하느님의 손길에 내어맡기며 신앙의 힘으로 살기 위한 하느님의 은총을 끊임없이 청하였다.
코스탄차는 카를로에게 했던 것처럼 그녀의 모성을 표현하고 다른 이들에게 자신을 내어주고 싶은 마음을 계속해서 느꼈다. 결국 38살의 나이에 복음에서 영감을 받은 그녀는 애덕만이 유일하고도 참되며 의미 있는 삶의 길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녀는 병든 이들을 찾아 돕고 가난한 이와 고아들을 위해 자신의 재산을 나눠주기기 시작했다. 거리에서 구걸하는 고아들의 두려움에 젖은 눈은 그녀가 더욱더 용기 있는 결정을 내리도록 이끌었다. 그녀는 자신의 재산과 모든 소유를 가난한 이들에게 주고 그녀의 집에 고아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그녀의 가문과 이웃들은 그녀가 미쳤다고 생각하며 도대체 무슨 일을 하는지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보석까지 팔아 고아원을 위한 물품을 구입하였다.
그녀는 모든 재물을 나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결정을 하였다. 즉 하느님께 전적으로 자신을 봉헌하기 위해 1856년 12월 15일 영속적인 정결 서원을 했고, 1857년 2월 8일 가난과 순명의 서원을 발했다.
곧이어 다른 젊은 여성들이 코스탄차와 함께하기를 소망하여 그녀의 자선사업에 기꺼이 참여하였다. 하느님의 계획은 가려져 있는 듯 보였지만 그녀는 침묵 중에 기도와 명상을 통해 자선 사업을 위한 규칙을 만들게 했다.
그래서 ‘많은 고아들의 어머니’인 코스탄차는 1857년 12월 8일 이탈리아의 코몬테(Comonte)에서 성가정 수녀회를 설립하였고, 바울라 엘리자베타라는 수도명을 선택하였다.
그녀가 설립한 수녀회의 카리스마는 나자렛 성가정에서 찾을 수 있는 겸손과 단순함, 가난과 사랑을 영성의 기초로 하고, 예수 마리아 요셉이 성가정 안에서 실천한 명상과 은둔 그리고 겸손한 노동으로 충만하여 수녀들 스스로 그러한 삶의 모범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바울라 엘리자베타 원장은 수녀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헌신했고, 남성들을 위해 1863년 11월 4일 빌라캄파냐(Villacampagna)에 같은 카리스마를 지닌 성가정 수도회를 설립하였다.
그녀는 이 두 수도회의 모범으로서 나자렛의 성가정을 제시하고, 수도회의 모든 사업을 성 요셉(Josephus)의 특별한 보호하심에 맡겼으며, 고아들을 ‘성 요셉의 아들과 딸들’로 부르며 보살폈다. 그녀는 부모 없는 아이들의 교육과 가난의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녀의 모성은 끝이 없었고, 수도회의 수사와 수녀들을 주의 깊고 적절하게 양성하는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다. 그래서 수도자들의 보살핌에 놓인 하느님의 자녀들을 한 명이라도 방치하거나 잃지 않고 사랑으로써 교육하도록 가르쳤다.
성녀 바울라 엘리자베타 원장은 1865년 12월 24일 49살의 나이에 코몬테의 수녀원에서 갑자기 선종하였다. 그녀는 1950년 3월 19일 성 요셉 대축일에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4년 5월 16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시성식 강론 중에 고아들에게 참된 가정을 주기 위해 헌신한 그녀의 노력을 치하하며 그녀가 퍼트린 신앙의 가치가 모든 그리스도인 가정들이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자비하신 하느님 사랑의 증거자가 되도록 했다고 말씀하셨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2. 아델라
- 가톨릭 성인 이름
Adel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과부, 수녀원장 - 활동 연도와 지역
+734년 팔젤
아델라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없음.
아델라 자료
아우스트라시아(Austrasia)의 왕 성 다고베르트 2세(Dagobert II, 12월 23일)의 딸인 성녀 아델라는 그녀의 남편 알베리히(Alberich)가 죽자 수녀가 되었다.
그녀는 독일 남서부 트리어(Trier) 근교 팔젤에 수도원을 세우고 초대원장이 되었다. 성녀 이르미나(Irmina, 12월 24일)와는 자매간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3. 이르미나
- 가톨릭 성인 이름
Irmin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동정녀 - 활동 연도와 지역
+710년경
이르미나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없음.
이르미나 자료
공주이던 성녀 이르미나는 아우스트라시아(Austrasia)의 왕 성 다고베르트 2세(Dagobert II, 12월 23일)의 딸로서 헤르만 백작과 결혼하기로 되어 있었다.
결혼 준비가 다 되어 갈 즈음에 그녀를 사모하던 어떤 사람이 남편 될 사람을 살해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 참극을 당한 그녀는 부친의 허가를 받고 수녀가 되기로 결심을 했다.
부친은 그녀를 위해 트리어(Trier)에 수녀원을 세워주었다. 그녀는 당시의 유명한 선교사인 성 빌리브로르두스(Willibrordus, 11월 7일)를 열렬히 지원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4. 타르실라
- 가톨릭 성인 이름
Tarsilla - 호칭 구분
성녀 - 신분과 직업
동정녀 - 활동 연도와 지역
+581년 로마
타르실라 여자 세례명과 같은 이름
따르실라.
타르실라 자료
성녀 타르실라(Tarsilla 또는 Tharsilla)는 교황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I, 9월 3일)의 고모이며, 교황 성 펠릭스 2세(Felix II, 3월 1일)의 조카딸이다.
성녀 타르실라는 로마의 아버지 집에서 자매인 성녀 에밀리아나(Emiliana, 1월 5일)와 함께 은둔과 금욕의 삶을 살았다. 그녀가 선종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성녀 에밀리아나도 선종하였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그 외 세례명 날짜로 찾기
그 외 세례명 이름으로 찾기